티스토리 뷰
💼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총정리: 신청부터 혜택까지!
✅ 1. 청년도약계좌란?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매년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정부에서 청년층의 목돈 모으기를 지원하고 있는데요.
정부정책은 알면 돈 벌고, 모르면 남들보다 뒤쳐지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청년도약계좌!이 청년도약계좌가 과연 무엇이길래, 매년 이렇게 관심을 받는지 궁금하실텐데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의 지원금과 이자 혜택이 더해져 만기 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대상: 만 19세~34세 청년
- 가입기간: 최대 5년
- 목적: 청년층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 지원
청년도약계좌 바로 신청하길 원하신다면
청년도약계좌 공식 상담 채팅방 정보
※아래 오픈채팅방 URL은 청년도약계좌 관련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서민금융진흥원 공식 채팅방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지원 강화방안 주요내용 확인하기
✅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 2.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 나이: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 군 복무를 이행하신분들의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하게 됩니다. - 소득 조건:
[ 📌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 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 거주 조건: 대한민국 거주자
- 추가 요건: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는 자
📌 TIP: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한 가구원수별 중위소득 기준 : ‘23년 기준 중위소득 250%
가구원수기준 | 중위소득 250%(연) |
1인 가구
|
62,336,760
|
2인 가구
|
103,684,650
|
3인 가구
|
133,044,480
|
4인 가구
|
162,028,920
|
5인 가구
|
189,920,640
|
6인 가구
|
216,839,430
|
7인 가구
|
243,225,450
|
✅ 3. 청년도약계좌 혜택
[정부기여금] 납입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비과세 혜택]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0원
[소득+우대금리]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
참고 : 개인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25.1월 납입금액부터 적용)

※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또는 군장병급여만 있는 자는 총급여 기준으로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을 산정되며 청년도약계좌 재가입자는 조정비율(=(60개월-기가입기간)/60개월)이 적용되어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이 재산정됨
✅ 4. 청년도약계좌 가입 유의 사항
📌 1) 가입전 체크사항
- 청년도약계좌는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
-> 우리은행에서 가입했다면, 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등에선 가입이 불가합니다. -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중지될 수 있습니다.
-> 가입일 현재에는 2년전 과세 대상 여부로 확인하지만, 올해 중 직전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변경되신다면, 그 시점부터 납입이 불가해집니다. -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부정이익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수 등의 제재 가능
-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
📌 2) 신청 단계별 가이드
STEP 1: 참여 금융기관 확인
- 시중 은행 (예: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등)
- 은행별로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 상품이 다를 수 있으니 비교 후 선택
STEP 2: 온라인/오프라인 신청
- 온라인 신청: 해당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뱅킹을 통해 신청 가능
- 오프라인 신청: 가까운 은행 지점 방문 후 상담 및 신청
STEP 3: 자격 심사
- 은행에서 신청자의 소득, 나이, 거주 조건 등을 심사
STEP 4: 계좌 개설 및 계약 체결
- 심사 통과 후 계좌 개설 및 계약 체결
- 매월 자동이체 설정
📌 3) 주요 금융기관 신청 링크
- KB국민은행: KB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 공식 페이지
- 신한은행: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 공식 페이지
- 우리은행: 우리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 공식 페이지
✅ 5.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주의사항
- 가입 조건 확인: 나이, 소득 조건 등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 상품 비교: 은행마다 금리와 혜택이 다를 수 있으니 꼼꼼히 비교하세요.
- 납입 계획 수립: 매달 꾸준히 납입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세요.
- 중도 해지 주의: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청년도약계좌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A. 만 19세~34세, 연소득 7,500만 원 이하인 청년만 가능합니다.
Q2. 정부 지원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A. 저축 금액과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3. 청년도약계좌는 어느 은행에서 신청 가능한가요?
A. 주요 시중 은행(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 7. 마무리 및 신청 TIP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저축 상품이 아니라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자격 조건을 잘 확인하고, 신청 방법을 꼼꼼히 따라가면 안정적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일상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SR 노쇼 위약금, 이렇게 달라진다! 환불 정책 총정리 (0) | 2025.01.05 |
---|---|
서울사랑상품권 구매부터 사용까지: 알아두면 유용한 팁 모음 (0) | 2025.01.05 |
사보타주 뜻, 정의, 사례, 그리고 대응 전략 (1) | 2025.01.04 |
국가애도기간 지침 총정리: 행사, 모임, 콘서트 가이드라인 (4) | 2024.12.31 |
2025년 1월 1일 디스패치 열애설 보도, 유지될까? (5) | 2024.12.31 |